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C++
- 코딩
- 산술연산자
- 자바클래스
- 코딩독학
- 반복문
- 메서드오버로딩
- 변수
- 자바메서드오버로딩
- 2차원배열
- 부동소수점
- 자바코딩
- this참조변수
- 기초코딩
- 비트연산자
- 포인터연산자
- 고정소수점
- 프로그래밍
- 제어문
- 조건문
- 포인터
- 자바코드
- 클래스선언
- Java
- C++상수
- C++코딩
- 코딩기초
- 1차원배열
- 자바
- 증감연산자
Archives
- Today
- Total
지식아일랜드
코딩 기초 11편 _ C++ 고정 소수점(Fixed point)과 부동 소수점(Floating point)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아일랜드의 모르는 게 없는 지식인입니다.
오늘은 C++ 코딩의 고정 소수점과 부동 소수점에 대해 예제 코드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iomanip>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 고정 소수점 예제
void fixedPointExample() {
// 16비트 고정 소수점
short fixedValue = 512; // 값 512를 저장합니다.
float fixedFloatValue = fixedValue / 256.0f; // 2.0을 나타내는 고정 소수점 값
cout << "고정 소수점 값: " << fixedFloatValue << endl;
// 8비트 고정 소수점
char fixedCharValue = 127; // 값 127을 저장합니다.
float fixedCharFloatValut = fixedCharValue / 128.0f; // 0.992를 나타내는 고정 소수점 값
cout << "고정 소수점 값: " << fixedCharFloatValue << endl;
}
// 부동 소수점 예제
void floatingPointExample() {
// 32비트 부동 소수점
float flaotValue = 3.14159365359f; // 파이 값을 저장합니다.
cout << "부동 소수점 값: " << setprecision(10) << floatValue << endl;
// 64비트 부동 소수점
double doubleValue = 6.02214076e23; // 아보가드로 수를 저장합니다.
cout << "부동 소수점 값: " << setprecision(20) << doubleValue << endl;
int main() {
fixedPointExample();
floatingPointExample();
return 0;
}
위의 코드에서는 먼저 고정 소수점과 부동 소수점의 예제를 각각 보여줍니다.
'fixedPointExample()' 함수에서는 먼저 16비트와 8비트 고정 소수점 값을 생성합니다.
16비트 고정 소수점은 'short'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며, 8비트 고정 소수점은 'char' 데이터 타입을 사용합니다.
두 경우 모두 값을 저장한 다음 해당 값을 사용하여 고정 소수점 값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값은 정수와 소수 부분을 나누어서 저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16비트 고정 소수점에서 값 2.0은 512를 저장하여 256으로 나누어서 나타냅니다.
8비트 고정 소수점에서 값 0.992는 127을 저장하여 128로 나누어서 나타냅니다.
'floatingPoingExample()' 함수에서는 먼저 32비트와 64비트 부동 소수점 값을 생성합니다.
32비트 부동 소수점은 'float'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며, 64비트 부동 소수점은 'double' 데이터 타입을 사용합니다.

어떠셨나요?
오늘 C++ 코딩의 고정 소수점과 부동 소수점에 대해 예제 코드와 함께 설명드렸는데요.
어려워 보일 수 있어도 두 가지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고
차근차근 예시를 복습하신다면 금방 습득하실 거에요.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딩 기초 13편 _ C++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와 증감 연산자(Increment and Decrement Operator) (0) | 2023.04.12 |
|---|---|
| 코딩 기초 12편 _ C++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를 이용한 수학적 계산 (0) | 2023.04.05 |
| 코딩 기초 10편 _ C++ 정수형 타입(Integer type)과 실수형 타입(Real type) 코드 예제 설명 (0) | 2023.04.02 |
| 코딩 기초 9편 _ C++ 리터럴 상수와 심볼릭 상수 개념 및 예제 (0) | 2023.03.04 |
| 코딩 기초 8편 _ C++ 상수(Constant) 선언 예시 (0) | 2023.03.03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