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기초
코딩 기초 14편 _ JAVA 할당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코드 예제
모르는게 없는 지식인
2023. 3. 19. 16:01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아일랜드의 모르는게 없는 지식인 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 산술 연산자에 이어,
JAVA에서 할당 연산자(assignment operator)를 이해하는 예제 코드를 설명드리려 합니다.
할당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예시 코드
public class AssignmentOperato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10;
int y = 5;
System.out.println("초기값 x = " + x);
System.out.println("초기값 y = " + y);
// 할당 연산자를 사용하여 x에 y를 할당합니다.
x = y;
System.out.println("할당 이후 x = " + x);
System.out.println("할당 이후 y = " + y);
// 복합 할당 연산자를 사용하여 x에 3을 더합니다.
x += 3;
System.out.println("복합 할당 이후 x = " + x);
System.out.println("복합 할당 이후 y = " + y);
}
}
위 코드에서 할당 연산자는 '=' 기호입니다.
먼저, 'x'와 'y' 변수에 각각 10과 5라는 값을 할당합니다.
그런 다음, 'x'에 'y'를 할당하여 'x' 변수의 값도 5로 바뀌었습니다.
그 다음, 복합 할당 연산자 '+='를 사용하여 'x' 변수에 3을 더합니다.
이는 'x = x + 3'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x' 변수의 값은 8이 되었지만, 'y' 변수의 값은 여전히 5입니다.
즉, 할당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데 사용되며, 변수의 이전 값을 덮어씁니다.
복합 할당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것 외에도 이전 값을 유지한 채로 다른 연산을 수행합니다.
위 코드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값 x = 10
초기값 y = 5
할당 이후 x = 5
할당 이후 y = 5
복합 할당 이후 x = 8
복합 할당 이후 y = 5
즉, 초기값 'x'는 10, 초기값 'y'는 5였으며, 'x'에 'y'를 할당한 후 'x'는 5, 'y'는 5가 되었습니다.
그 다음 'x'에 3을 더한 후 'x'는 8이 되었지만, 'y'는 여전히 5입니다.
어떠셨나요? 잘 이해가 되셨나요?
하루하루 지날수록 코딩이 점점 중요해지는 시대가 오고 있는데요~
조금 복잡해보이더라도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분명 코딩 마스터가 될 수 있을 거에요.
그럼 오늘도 화이팅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