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아일랜드

코딩 기초 22편 _ JAVA 코딩 1차원 배열(One-dimensional Arrangement) 코드와 예제 본문

JAVA 기초

코딩 기초 22편 _ JAVA 코딩 1차원 배열(One-dimensional Arrangement) 코드와 예제

모르는게 없는 지식인 2023. 4. 1. 23:58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식아일랜드의 모르는게 없는 지식인 입니다.

오늘은 자바에서 1차원 배열을 이해하는 코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1차원 배열이란 하나의 행으로 구성된 배열을 말합니다.

즉, 여러 개의 요소가 하나의 줄에 나열되어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5개의 정수 값을 저장하는 배열은 아래와 같이 선언할 수 있습니다.

int [] qrr = new int[5];

 

위의 코드에서 'int[]'는 정수형 배열을 선언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rr'은 배열의 이름이며, '[5]는 배열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위의 코드는 5개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 'arr'을 선언한 것입니다.

 

이제 배열에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예제를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Array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rr = new int[5];
              arr[0] = 10;
              arr[1] = 20;
              arr[2] = 30;
              arr[3] = 40;
              arr[4] = 50;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System.out.println("arr[" + i + "] = " + arr[i]);
              }
      }
}

 

위의 코드에서는 'arr' 배열에 10, 20, 30, 40, 50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고, 'for' 문을 사용하여 배열의 모든 값을 출력합니다.

'for' 문은 배열의 크기('arr, length')만큼 반복되며, 'arr[i]'는 배열의 i번째 요소를 나타냅니다.

출력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arr[0] = 10
arr[1] = 20
arr[2] = 30
arr[3] = 40

즉, 위의 예제에서는 1차원 배열을 선언하고, 배열에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출력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이상으로, 1차원 배열에 대한 자바 코드와 예제를 설명드렸는데요.

언제든지 궁금한 점이 생기면 댓글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